[SDG10 불평등감소] 보이는 언어 만들기: 청작장애인 소통장치 #장애인 #베리어프리 #소리센서 #LED #라디오통신 #출력핀
2022-01-30
조회수 1144
#장애인 #베리어프리
#소리센서 #라디오통신 #출력핀
기획 배경
우리 모두가 인간답게 살아가고, 시민으로서 생활에 큰 불편이 없도록 살피는 것이 사회의 역할입니다. 그런데 장애, 소수인종, 성별 등의 차이로 인한 생활의 불편함도 예외가 아닙니다. 모두 똑같은 동료 시민이기 때문에 당연하게 누려야할 권리가 있음에도 주류 사회가 잘 알지 못한다는 이유로 관심을 받지 못해 불편함이 계속되고 있고 이는 불평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우리 생활을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는 관점을 키우고,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태도를 기르고자 합니다.
학습 목표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인한 불평등 사례를 확인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인 문제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장애로 인한 불평등 해소를 돕기 위한 프로그램 제작을 위해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구체화하여, 창의적 산출물을 제작할 수 있다.
함께 사회를 살아가며 장애로 불평등을 겪고 있는 이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려는 태도를 가질 수 있다.
탐구 질문
장애인의 입장에서 불평등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장애인에게 어떤 생활 속 불편함이 있나요?
기술은 이 불편함을 해소하는데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장애인들의 생활 속 불편함을 해소하는 장치를 어떻게 만들 수 있나요?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탐구
UN SDGs의 의미와 목표에 대해 알아봅시다.
SDGs는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의 약어로 Global Goals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2015년 제70차 UN총회에서 지속가능발전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결의하였습니다. 인간, 지구, 번영, 평화, 파트너십이라는 5개 영역에서 인류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17개 목표와 169개 세부 목표로 제시합니다.
이샛별 작가는 자신을 못 듣는 사람이 아닌 ‘잘 보는 사람’으로 소개합니다. 단지 음성 언어가 아닌 수화 언어를 사용한다는 차이가 있는 것이지요. 그런데 아이를 낳게 되면서 ‘잘 보는 것’으로 해결이 되지 않는 문제들이 있었습니다. 어린 아이의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인 울음소리를 들을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아이가 잠을 자다 깼을 때, 배가 고플 때, 혼자 놀이를 하다가 넘어졌을 때 울음 소리로 도움을 요청하지만, 들을 수 없는 부모는 그 상황을 바로 알기 어렵습니다. 청각장애인 부모는 아이의 울음소리를 들을 수 없어서 아이의 주변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2018 대구교육연구정보원, 2019 대구창의융합교육원 파견교사로 근무하며 학생들과 micro:bit를 활용한 수업을 진행했고, 한국과학창의재단 소프트웨어 페스티벌 등 행사에서도 SW-AI 및 메이커 활동 수업을 했습니다. 현재는 대구 한실초등학교에서 학생들과 함께 생활 속 문제 해결이라는 주제로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메이커 등 다양한 도구를 활용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베리어프리
#소리센서 #라디오통신 #출력핀
기획 배경
우리 모두가 인간답게 살아가고, 시민으로서 생활에 큰 불편이 없도록 살피는 것이 사회의 역할입니다. 그런데 장애, 소수인종, 성별 등의 차이로 인한 생활의 불편함도 예외가 아닙니다. 모두 똑같은 동료 시민이기 때문에 당연하게 누려야할 권리가 있음에도 주류 사회가 잘 알지 못한다는 이유로 관심을 받지 못해 불편함이 계속되고 있고 이는 불평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우리 생활을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는 관점을 키우고,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태도를 기르고자 합니다.
학습 목표
탐구 질문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탐구
UN SDGs의 의미와 목표에 대해 알아봅시다.
SDGs는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의 약어로 Global Goals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2015년 제70차 UN총회에서 지속가능발전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결의하였습니다. 인간, 지구, 번영, 평화, 파트너십이라는 5개 영역에서 인류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17개 목표와 169개 세부 목표로 제시합니다.
목표 10 '불평등 감소'에 대해 알아봅시다.
우리 사회의 많은 사람들이 경제, 성별, 나이, 장애 유무, 성적 지향, 인종, 계층, 민족, 종교, 기회에 따른 불평등을 겪고 있습니다. 이 목표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가 간 불평등을 해소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 생활 속 문제를 살펴봅시다.
이 문제는 목표 10과 어떤 관련이 있나요?
더 많은 참고자료
💡 SDGs 주제로 프로젝트 기획하기
이번 시간에 해결해야 할 문제를 다시 한 번 살펴봅시다.
이샛별 작가는 자신을 못 듣는 사람이 아닌 ‘잘 보는 사람’으로 소개합니다. 단지 음성 언어가 아닌 수화 언어를 사용한다는 차이가 있는 것이지요. 그런데 아이를 낳게 되면서 ‘잘 보는 것’으로 해결이 되지 않는 문제들이 있었습니다. 어린 아이의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인 울음소리를 들을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아이가 잠을 자다 깼을 때, 배가 고플 때, 혼자 놀이를 하다가 넘어졌을 때 울음 소리로 도움을 요청하지만, 들을 수 없는 부모는 그 상황을 바로 알기 어렵습니다. 청각장애인 부모는 아이의 울음소리를 들을 수 없어서 아이의 주변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출처] "청각장애인끼리 결혼하면 일상생활은 가능하냐고?"ㅣ#터뷰
아이디어 구상하기
아이디어 구체화하기
✂️ 창작하기 : 프로젝트 만들기
(프로젝트 설계 예시)
⚙️ 창작하기 : 프로그래밍 하기
*Tip. 아래 제시된 프로젝트는 어린이 청소년들이 도출할 수 있는 샘플 프로젝트입니다.
교육 현장에서는 ‘아이디어 상상하기’ 과정을 통해 스스로 제시한 프로젝트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수 있도록 가이드해주세요!
샘플1. [청각장애인 소통장치] 하나! : 소리를 이미지로 바꾸기
⋇ micro:bit 2.0 버전에는 소리센서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샘플2. [청각장애인 소통장치] 둘! : 소리 감지 LED 알림 장치
⋇ micro:bit 2.0 버전에는 소리센서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샘플3. [청각장애인 소통장치] 셋! : 소리 감지 진동 장치
⋇ micro:bit 2.0 버전에는 소리센서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 프로젝트 시연 및 개선하기
📢 공유하기
전용욱 / 대구한실초등학교 / wjsdyddnr@gmail.com
2018 대구교육연구정보원, 2019 대구창의융합교육원 파견교사로 근무하며 학생들과 micro:bit를 활용한 수업을 진행했고, 한국과학창의재단 소프트웨어 페스티벌 등 행사에서도 SW-AI 및 메이커 활동 수업을 했습니다. 현재는 대구 한실초등학교에서 학생들과 함께 생활 속 문제 해결이라는 주제로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메이커 등 다양한 도구를 활용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