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발전목표 14 수생태계 보전(Life Below Water)은 2015년 UN에서 수립한 17가지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하나입니다. 건강한 해양환경은 인류의 생존의 필수 요소이며, 바다는 지구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귀중한 자원입니다. 인류는 식량, 에너지 및 산업발전에 필요한 물 등을 바다에 의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구의 소중한 자원인 해양에 커다란 피해를 끼치고 있습니다.
해양 생태계의 건강을 되찾기 위해 UN과 국제사회는 몇 가지 실천 목표를 정하였습니다. 불법 어업 및 남획 등 파괴적인 어업 행위를 법으로 통제하고, 해안의 10% 이상을 보존하는 것, 그리고 해양의 산성화를 늦추어 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등 국가적으로 힘을 보태야 하는 일부터, 개인들의 실천이 모여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우리의 실천으로 해양 생태계를 보전할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함께 해결책을 강구해 봅시다.
활동
다음의 활동을 통해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지속가능발전목표 14를 이해하고, 실현하는 방법을 탐구하도록 돕습니다.
활동 1: 바다에 대해 생각해보기
바다와 해양 환경이 직면한 위협에 대해 알아봅니다.
활동 시간: 10분
아래 동영상을 시청한 후, 다음 내용에 대해 토론해 봅니다.
바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해양 환경이 직면한 문제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 있나요?
해양 환경 문제는 여러분의 생활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활동 2: 인간이 바다에 미치는 영향
해양 환경이 직면한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마인드 맵을 작성해 봅니다.
활동 시간: 15분
소그룹으로 나누어 해양 환경이 직면한 수많은 문제를 생각나는 대로 나열하게 합니다.
예상 답변: 해양 오염(하수, 화학 물질 및 플라스틱); 해수 온도 상승, 탄소 배출로 인한 산성도 증가, 불법어업, 산호 백화 등 해양생물에 대한 피해, 수생태계 보전 파괴 등
마인드 맵핑 등을 통해 정보를 시각적으로 구성해 봅니다.
모든 문제를 포스트잇 등에 적고 칠판이나 큰 종이에 연관된 문제를 그룹화합니다.
이러한 문제가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와 전 세계에 미치는 영향을 포스트잇 등을 활용해 마인드 맵에 추가합니다. 또한 그 원인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이제 위의 정의를 사용하여 지속가능발전목표 14 수생태계 보전(Life Under Water)을 소개합니다. 함께 작성한 마인드 맵이 지속가능발전목표 14에 관련된 사안이나, 문제를 대표하는 것인지 확인해 봅니다. 혹시 놓친 내용이 있나요?
활동 3: 왜 바다가 중요할까요?
일기 형식의 글쓰기 활동을 통해 인간이 수생태계에 피해를 입힐 때 어떤 고통을 겪게 되는지 생각해 보도록 합니다.
활동 시간: 25분
소개
활동 2 마인드 맵을 통해 만든 목록 중 공감되는 문제를 고른 다음 그것을 겪고 있는 사람의 관점에서 일기를 작성해 봅니다. 누가 이 문제 때문에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될까요?
다음은 몇 가지 예시입니다.
세네갈의 소규모 어업 종사자. 이 어부가 속한 지역 사회는 수년간 식량과 소득원을 어업에 의존해 왔지만 대단위 산업 규모의 어업이 이 지역으로 진출하여 어획량 감소에 직면해 있습니다.
하와이 빅 아일랜드는 지구상에서 플라스틱으로 인한 오염이 가장 심한 곳의 하나입니다. 빅 아일랜드 남동쪽 끝단에 위치한 카밀로 비치(Kamilo Beach) 인근에 거주하는 어린이는 피부 및 호흡기 질환으로 수년 째 고생하고 있습니다.
부산의 해운대와 광안리 해변은 여름 관광철마다 쓰레기가 넘쳐 납니다. 날카로운 유리와 플라스틱, 캔 등의 쓰레기로 인해 해변을 걷다 다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합니다.
글쓰기 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17개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살펴보며, 이 문제의 영향을 받는 다른 목표를 확인합니다. (예: 식량원(목표 2: 기아 종식) 또는 소득원(목표 8: 양질의 일자리 확대와 경제 성장)을 바다에 의존하는 경우). 이 과정을 통해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수생태계 보전 문제의 폭넓은 파급력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도록 독려 합니다.
일기 쓰기
이제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10-15분간 수생태계 보전 관련 문제에 직면한 사람 00의 입장이 되어 일기를 쓰도록 합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지속가능발전목표 14 수생태계 보전을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소개하세요.
지속가능발전목표 14 수생태계 보전이란 무엇일까요?
지속가능발전목표 14 수생태계 보전(Life Below Water)은 2015년 UN에서 수립한 17가지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하나입니다. 건강한 해양환경은 인류의 생존의 필수 요소이며, 바다는 지구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귀중한 자원입니다. 인류는 식량, 에너지 및 산업발전에 필요한 물 등을 바다에 의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구의 소중한 자원인 해양에 커다란 피해를 끼치고 있습니다.
해양 생태계의 건강을 되찾기 위해 UN과 국제사회는 몇 가지 실천 목표를 정하였습니다. 불법 어업 및 남획 등 파괴적인 어업 행위를 법으로 통제하고, 해안의 10% 이상을 보존하는 것, 그리고 해양의 산성화를 늦추어 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등 국가적으로 힘을 보태야 하는 일부터, 개인들의 실천이 모여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우리의 실천으로 해양 생태계를 보전할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함께 해결책을 강구해 봅시다.
활동
다음의 활동을 통해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지속가능발전목표 14를 이해하고, 실현하는 방법을 탐구하도록 돕습니다.
활동 1: 바다에 대해 생각해보기
바다와 해양 환경이 직면한 위협에 대해 알아봅니다.
활동 시간: 10분
아래 동영상을 시청한 후, 다음 내용에 대해 토론해 봅니다.
활동 2: 인간이 바다에 미치는 영향
해양 환경이 직면한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마인드 맵을 작성해 봅니다.
활동 시간: 15분
활동 3: 왜 바다가 중요할까요?
일기 형식의 글쓰기 활동을 통해 인간이 수생태계에 피해를 입힐 때 어떤 고통을 겪게 되는지 생각해 보도록 합니다.
활동 시간: 25분
소개
활동 2 마인드 맵을 통해 만든 목록 중 공감되는 문제를 고른 다음 그것을 겪고 있는 사람의 관점에서 일기를 작성해 봅니다. 누가 이 문제 때문에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될까요?
다음은 몇 가지 예시입니다.
글쓰기 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17개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살펴보며, 이 문제의 영향을 받는 다른 목표를 확인합니다. (예: 식량원(목표 2: 기아 종식) 또는 소득원(목표 8: 양질의 일자리 확대와 경제 성장)을 바다에 의존하는 경우). 이 과정을 통해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수생태계 보전 문제의 폭넓은 파급력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도록 독려 합니다.
일기 쓰기
이제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10-15분간 수생태계 보전 관련 문제에 직면한 사람 00의 입장이 되어 일기를 쓰도록 합니다.
고찰하기
글쓰기를 마친 후, 자신이 쓴 글과 생각한 내용을 모둠별로 토의해 봅니다.
이 수업가이드는 World's Largest Lesson이 개발하고, 스마일게이트 퓨처랩이 리믹스하였습니다.
참고 | do your :bit (https://microbit.org/ko/projects/do-your-bit/global-goals/life-below-water)